다이달로스의 경고를 무시한 이카로스의 최후
요즘 들어 몸짱, 옷짱이라는 말이 유행한다. 이 단어는 한 때 은어였다가 지금은 사람들이 열광하고 열망하는 단어다. 또한, 연예인들뿐만 아니라 일반인까지 큰 관심사로 자리 잡았다. 예뻐 보이고 세련되어 보이는 것.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말은 아니지만, 다만 그것을 통해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몸짱, 옷짱은 자본주의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육체자본과 매력자본'에 맞닿아있다. 실제로 몸짱과 옷짱이라는 단어는 화려함이 있지만, 반대로 초라함도 함께 내재되어 있다. 화려한 사람이 있으려면, 초라한 사람도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은 육체자본과 매력자본에 대한 빈부격차를 초래한다. 대부분 사람들은 예뻐 보이는 몸매와 세련된 옷차림을 타인에게 보여주길 원한다. 그러나 이것의 문제는 바로 '보여주는 것'에 집중한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주관적인 판단으로 자신의 몸매가 뚱뚱하거나 마르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그 기준점이 '건강'이 아니라 '타인'이라는 점이다. 옷차림 또한 마찬가지다. 서로 비슷해 보이는 패션도 가격차이가 천차만별이다. 나의 패션에 대한 만족감이 나의 시선이 아니라 타인의 평가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문제다.
각자 자신의 육체자본과 매력자본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본다면, 또한 자신의 평가와 타인의 평가가 균형있게 조율된다면 크게 문제 될 점이 없다. 하지만 이것을 집착하는 일부 사람들의 삶은 결코 아름답지 않다. 자신의 외형과 개성을 바꾸기 위해 큰 빚과 부담을 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것을 감당하기 위해 심연에 발을 들이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결국 타인에게 보여지는 겉모습 때문에 자신의 내면이 어둠 속으로 빨려 들어간 것이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멋진 몸, 멋진 옷으로 태어나지 않는다. 벌거벗은 핏덩어리로 세상에 눈을 뜬다. 그리고 생존하기 위해서 옷을 입고 몸을 키운다. 시간이 지나 자아가 확립되면서 스스로 성찰하게 되고 그때부터 타인의 시선을 의식한다. 이때부터 '자기관리'라는 명목하에 육체자본과 매력자본을 축적하기 시작한다. 만약 그것이 올바른 자기 관리가 아니라 '타인의 시선관리'가 된다면 결코 삶은 풍요롭지 않다. 자신을 가장 사랑해야 하는 사람이 바로 자신이어야 하는데, 세상 누구보다 자신을 싫어하는 사람이 바로 자신이 되는 일이다.
사실 사람들은 외형보다 내면을 추구한다. 멋진 몸매와 예쁜 옷차림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남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다. 이것은 육체자본이나 매력자본과는 다른, 본래 자신의 내면을 아름답게 키워내는 내면자본에 가깝다. 내면자본을 가꾸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다. 아무리 비싸고 멋진 옷을 입고, 품위있는 언어를 사용하며 나타나더라도 우리는 진실된 언어와 배려있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끌릴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우리는 매력자본과 육체자본의 결핍에 갈증을 느낀다. 그것은 우리가 타인의 마음을 읽는 능력이 없는 한계에서 출발한다. 상대방의 행동과 대화를 경험하기까지 우리는 첫 인상을 중요시 여긴다. 상대방의 속성을 쉽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처음 본 외형에 따라 그 사람의 격식과 소양을 쉽게 판단하고 일반화한다.
시력보강을 위한 안경과 렌즈도 이제는 패션의 일부가 되었다. 시계나 모자, 악세사리 등 다양한 패션도 디자인보다 브랜드를 중요시 여긴다. 브랜드가 기능과 디자인을 잡아먹은 것이다. 이 때문에 패션업계에서 기능성보다 브랜드와 모델을 앞세워 광고한다. 반면, 연예인들에게 이러한 육체자본과 매력자본은 일반인보다 더욱 생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물론 오랜 시간 대중들과 쌓아온 신뢰 앞에서 이러한 부담감은 조금 덜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신인들과 무명들은 육체자본과 매력자본의 유혹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다. 일반인에게 부담스러울 만큼 화려한 의상과 자극적인 노출이 쉽게 대중들에게 눈에 띄고 그만큼 광고나 프로그램의 섭외가 원활하기 때문이다.
육체 자본과 매력자본은 문을 열자마자 바로 느껴지지만, 아름답게 피어낸 내면은 문을 닫고 나간 사람이 다시 문을 열고 나타나기를 기대하는 일이다. 순수한 내면은 그 어떤 화려한 외형보다 아름답고, 우리 가슴속에 맑고 시원한 물을 마시는 일과 같다. 그럼에도 육체자본과 매력자본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도 뗄 수 없는 먼지들처럼 우리의 곁에서 당분간 머물 예정이다. 과거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에서 된장남 특집을 통해 멤버들은 화려한 정장을 입고 품위있는 언어와 행동을 하려고 했다. 그러나 그 모든 것들이 부자연스러워 보였고, 멤버들 또한 마지막에 하나같이 불편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유재석은 내레이션을 통해 옷은 날개다. 그러나 자신에게 맞는 옷, 즉 무한도전에게는 화려한 정장보다 운동복이 어쩌면 날개가 아닐까라고 마무리했다. 우리의 날개는 어떤 것일까. 다이달로스의 경고를 무시하고 자신의 날개를 과신했던 이카로스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남겼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