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의 기원의 종류와 특성
·
-
ⓒPhotograph By Hwang ManBok, 2011 판소리의 기원의 종류와 특성 - 황만복 1. 머리말 판소리 전성시대. 불과 몇 년 전 판소리는 대중들에게 널리 사랑을 받는 전통예술이었다. 판소리에 담긴 해학과 풍자성, 그리고 전통적인 한국인의 정서가 목소리에 담겨있던 모습은 대중의 관심을 사기에 충분했다. 세계로부터 갈채를 받고있는 일본의 전통인형극인 분라쿠에 못지않게 우리의 판소리의 예술성도 무척 뛰어나다. 일본의 분라쿠가 공연예술로서의 특성만을 띄고있다는 점에서 판소리는 대중들과 호흡하며 함께 만들어간다. 따라서 판소리가 대중예술로서 더욱 뛰어나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판소리의 촛불이 흔들리고 있다. 새로운 장르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유동적인 대중들의 특성 때문일 수도 있겠지만..